아랍어 공부
아랍어 명사를 남성 복수 규칙으로 복수화하는 방법
아즈와르
2025. 6. 14. 11:15
앞서 아랍어의 명사를 부류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인 수에 따른 부류를 배웠다. 오늘 아랍어 명사를 남성 복수 규칙으로 복수화 하는 방법을 배워보려 한다.
명사를 남성 복수 규칙으로 복수화하는 방법
1. 명사가 ‘정상형(صحيح)’일 경우; 약한 문자로 취급되는 모음문자(ا، ي، و)를 제외한 문자들 |
명사가 정상형(صحيح)일 경우, -ونَ(와우+눈) 또는 -ينَ(야+눈)을 붙여 복수로 만든다. 이때 단어의 형태나 구조에는 다른 변화가 없다. • 주격: معلم 선생님 → معلمون 선생님들 • 목적격·속격: معلم 선생님 → معلمين 선생님들 → 정상형이란 단어의 끝이 약화 없이(약한 문자로 취급되는 모음문자(ا، ي، و)를 비포함) 튼튼한 자음으로 끝나는 일반 명사를 말한다. |
2. 명사가 ‘불완전형(منقوص)’일 경우 |
명사의 끝이 야(ي)로 끝나는 불완전형(منقوص)인 경우, 복수형을 만들 때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. ① 끝의 야(ي)를 생략한다. ② -ون형(주격)에서는 그 앞 음절을 '우'[ ُ ] 로 만든다. ③ -ين형(목·속격)에서는 그 앞 음절을 ‘이’[ ِ ] 로 만든다. 예시: • القاضي → القاضون / القاضين • الداعي → الداعون / الداعين → 원래 형태는 القاضيون, الداعيون이지만, 야와 와우 / 야와 야가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야를 생략한다. 이를 *두 정지음의 충돌 (التقاء الساكنين)이라고 한다. |
3. 끝이 알리프 막수라 (ى)인 경우 |
명사의 끝이 *알리프 막수라(ى)로 끝나는 경우, 복수화할 때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. ① 끝의 *알리프(ى)*를 생략한다. ② 그 자리에 있었던 알리프를 암시하기 위해 그 앞 자음 위에 모음부호 파트하 [ َ ] 를 남겨둔다. 예시: • 알 '이므란 장 139절, 무함마드 장 35절의 الأعلَوْنَ ![]() ![]() الأعلى 은 알리프 막수라로 끝나고 복수화 되면서 알리프가 생략되고 그 앞의 람(ل)에 파트하 부호가 남음 → الأعلَوْنَ • 사드 장 47절의 المصطفَيْنَ ![]() المصطفى 는 알리프 막수라로 끝나고 복수화 되면서 알리프가 생략, 그 앞의 파(ف)에 파트하 부호가 남음 → المصطفَيْنَ → 원형은 الأعلوون, المصطفوين이지만, 발음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알리프를 생략하고 파타만 남긴다. |
4. 맘두-드 형(الممدود) 명사의 경우 |
맘두-드형(ممدود)이란, 단어의 끝이 알리프 + 함자(اء)로 끝나는 경우를 말한다. 이러한 명사는 복수화할 때, 쌍수화(تثنية)와 동일한 규칙을 따른다. 예시: • وُضَّاء (빛나는) → وُضَّاءُون • حمراء (본래 여성형이 지만 남성 고유명사로 쓰일 때 남성형 규칙 복수화 가능) → حمراءُون → 남성 이름일 경우에 한해 이런 복수형을 사용한다. |
5. 두 복수형이 모두 가능한 예외적 경우 |
단어에 따라 두 가지 복수형이 모두 허용되는 경우도 있다. 이 경우, 사용자 선택이나 문맥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. 예시: • علباء → علباؤون / علبـيـون • كساء → كساؤون / كسـيـون |
6. 남성 복수 규칙에 ‘형태만 비슷한 단어들’ (붙은 복수형: ملحق به) |
정규 남성 복수형은: ① 단수형이 *이성/이해력 있는 존재(= 사람)*이고 ② 끝이 ون/ين으로 변화 • 예: مسلم → مسلمون / مسلمين 하지만 아래 단어들은 형식은 비슷하지만 문법적으로 정규 복수로 간주하지 않고 ‘붙은 복수형’(مُلْحَق به)이라고 부른다. 이유는 대부분 다음 중 하나 때문이다: ① 단수형이 존재하지 않거나 ② 복수형이 원래부터 고유화되었거나 ③ 형태만 비슷하고 실제 규칙에서 벗어났기 때문 |
단어 | 의미 | 설명 |
أوَّلون | 첫 번째 사람들 | أصل은 أوَّل, 불규칙 복합 어형 |
عالَمون | 세계들 / 피조물들 | 원형 عالَم은 무생물 또는 추상명사 |
أرَضون | 땅들 | 단수 أرض이 여성 명사임에도 남성 복수처럼 변형 |
سِنُون | 해들 | 단수 سنة는 여성명사, 형식만 남성 복수 |
بَنُون | 아들들 | 단수 ابن, 복수형이 독특한 형태로 바뀜 |
ثُبونَ | 용감한 자들 (고어적) | 원형도 불분명, 형식적 복수만 존재 |
عِزُون | 고귀한 자들 | 특수 고유 어휘, 단수형 거의 사용 안됨 |
أهلون | 사람들, 가족들 | أهل 자체가 집합명사에 가까움 |
عِشرون وبابه | 20 그리고 그와 비슷한 수들 | 30, 40 등은 원래부터 복수 형태를 가짐 |
→ 이 단어들은 형태적으로 -ون / -ين 패턴을 따르지만, 규칙적인 접미사 변화가 아닌 불규칙 복수에서 유래한 것이다.
⸻
요약 정리
유형 특징 예시
정상형 -ون / -ين만 붙임, 형태 변형 없음 مسلم → مسلمون / مسلمين
불완전형 야(ي) 생략 + 앞 음절 변화 القاضي → القاضون / القاضين
알리프 막수라형 ى 생략 + 앞 문자에 열린모음(파트하) 남김 الأعلى → الأعلون
맘두드형 اء 유지, 쌍수와 동일 규칙 وضّاء → وضّاؤون
복수형 중 두 형태 가능 형태 둘 다 허용 كساء → كساؤون / كسيون
붙은 복수형 (예외) 복수 규칙이 아닌 특수형 بنون, سنون 등